전체 글 76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4장 정리

2022.03.24 - [IT 책 독서록]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3장 정리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3장 정리 2022.03.14 - [IT 책 독서록]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1 ~ 2장 정리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1 ~ 2장 정리 1장 : 온고지신. 청출어람 1장에서 얘기 blog.robinjoon.space 4장은 이전 장에서 등장하지 않은 자바에서 사용하는 키워드와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대부분의 키워드와 개념은 이미 자바 문법을 공부하면서 보았던 개념이기에 따로 정리하지 않고, 신선한 내용만 정리해 보았다. instanceof 연산자 이 연산자는 다음과같이 사용한다. 객체_..

IT 책 독서록 2022.03.31

[JVM 공식문서 번역프로젝트] 1. Introduction

이 포스팅은,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Java 11 JVM 스펙시트 공식 문서를 영어공부할 겸 번역해본 문서입니다. 의역, 오역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1.1. 역사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는, 범용적이고, 동시적이고, 객체지향언어입니다. 자바의 문법은 C 언어와 C++과 흡사하지만, C언어와 C++을 복잡하게, 혼란스럽게, 안전하지 않게 하는 많은 기능들을 생략하였습니다. 자바 플랫폼은 초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자바는 다중 호스트 아키텍쳐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의 안전한 전달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런 요구사항을 위해 컴파일된 코드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여전히 동작해야 하고, 모든 사용자에게서 동작해야 하며 사..

개발영어공부 2022.03.29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부록 A 내용정리

2021.07.20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2021.07.14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2021.07.13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blog.robinjoon.space 부록에선, 3장에서 다룬 추상화에 대해 좀 더 깊게 다룬다. 따라서, 이전 발행글도 3장으로 했다. 추상화 기법 추상화 기법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분류와 인스턴스화 일반화와 특수화 집합과 분해 분류와 인스턴스화 객체를 분류하고 범주로 묶는 것은 객체들의 특정 집합에 공통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

IT 책 독서록 2022.03.18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7장 내용정리

2022.03.03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6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6장 내용정리 2022.03.01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내용정리 2021.07.29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blog.robinjoon.space 7장에서는, 객체지향 설계의 3가지 관점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코드를 작성하여 그 코드를 각 관점에서 바라본다. 객체지향의 3가지 관점 개념관점 설계는 도메인 안에 존재하는 개념과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한다. 이 관점은 사용자가 도메인을 바라보는 관점을 반영한다. 따라서 실제 도메인의 규칙과 제약을 최대..

IT 책 독서록 2022.03.18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 1 ~ 2장 정리

1장 : 온고지신. 청출어람 1장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말은 다음 두 문장으로 정리된다. "스프링같은 신기술은 하늘에서 뚝 하고 떨어진 것이 아니라 이전 기술의 어깨를 디딤돌삼아 그 위에 이전 기술이 제시한 철학과 기법을 정제하고, 이전 기술을 거름삼아 새로운 철학과 기법을 더해 나타나는 것" "따라서, 스프링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전 기술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2장 : 객체지향 속 구조적/절차적 프로그래밍 2장의 내용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에서, 그 이전의 구조적/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던 기법들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자바의 많은 예약어는 C언어에서 왔음을 보여주며 절차적/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유선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에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

IT 책 독서록 2022.03.14

람다식과 표준 함수형 인터페이스 (1)

람다식이란? 람다식은 자바8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도입하면서 지원되기 시작한 문법이다. 기본적으로 람다식은 익명 구현객체를 만드는 새로운 방식이다. 기존의 방식대로 Runnable 인터페이스의 익명 구현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Runnable runnable = new Runnable(){ public void run(){ ... } } 람다식을 이용하면 아래처럼 더 짧고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Runnable runnable = () -> { ... } 람다식은 런타임 시에 어떤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인지 결정된다. 즉, 람다식이 대입되는 타입이 무었인지에 따라 구현되는 인터페이스가 결정된다. 위 코드는 Runnable 에 대입되므로 람다식은 런타임에 Runnable의 익명 구현 ..

Java/기초문법 2022.03.07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6장 내용정리

2022.03.01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내용정리 2021.07.29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2021.07.20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blog.robinjoon.space 1 ~ 5장까지의 내용은 결국 책임 주도 설계에 대해 다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모든 내용이 책임주도 설계로 이어졌다. 책에서 직접 언급했듯, 책임은 결국 소프트웨어의 기능이다. 따라서 1 ~ 5장까지는 기능을 바탕으로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이야기 했다. 각 기능을 더 작은 기능으로 구분하고 그것을 적절..

IT 책 독서록 2022.03.03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내용정리

2021.07.29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2021.07.20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2021.07.14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blog.robinjoon.space 4장에서 개별 객체가 아니라 협력의 관점에서 바라보라고 한다. 5장에선 이 협력을 위해서 책임을 정의하는데, 이 과정에서 책임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그 책임을 어떤 객체에게 어떻게 부여 할 것인지 등을 다룬다. 역할과 책임은 분명해야 한다. 책의 본문에선 1964년에 진행된 어떤 심리학 실험을 인용하며 ..

IT 책 독서록 2022.03.01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3장 통합 정리, 자바에선 어떻게 이걸 적용했나?

2021.07.13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 시스템은 자율적인 객체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협력을 구성하는 각 객체들은 각각의 역할이 있고 역할은 곧 책임을 의미한다. 실세계의 커피숍을 이와같은 관점으로보면 커피를 blog.robinjoon.space 2021.07.14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2021.07.13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 시스템은 자율적인 객체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협력을 구성하는 각 객 blog.robi..

IT 책 독서록 2022.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