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책 독서록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내용정리

robinjoon98 2021. 7. 29. 11:43

2021.07.20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내용정리

2021.07.14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 내용 정리 2021.07.13 - [IT 책 독서록]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 내용 정리 [객체지향의 사실과

blog.robinjoon.space

객체지향 설계의 전체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개별객체의 품질이 아니라 여러 객체들이 모여 이뤄내는 협력의 품질이다.

 

협력

각 객체간의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이다.

 

책임

어떤 객체가 어떤 요청에 대해 대답할 수 있거나, 적절한 행동을 할 의무가 있는 경우 해당 객체가 책임을 가진다고 말한다.

객체의 책임은 객체가 '무었을 알고 있는가(knowing)''무었을 할 수 있는가(doing)'로 구성된다.

책임은 객체지향 설계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객체지향의 예술은 적절한 객체에게 적절한 책임을 할당하는데 있다.

책임은 객체의 외부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정보와 외부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이다. 즉, 책임은 객체의 공용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역할

역할을 이용하면 유사한 협력을 추상화해서 인지과부하를 줄일 수 있고, 협력이 유연해지며 객체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역할의 가장 큰 가치는 하나의 협력안에 여러종류의 객체가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협력을 추상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협력의 추상화를 통해 설계자가 다뤄야 할 협력의 개수를 줄이고, 구체적인 객체를 추상적인 역할로 대체하여 협력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역할은 본질적으로 다른 객체에 의해 대체가능함을 의미한다. 객체가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은, 그 객체가 역할이 협력 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행동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객체지향 설계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은  '객체가 협력안에서 어떤 책임과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것이다.

올바른 객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견고하고 깔끔한 협력을 설계해야 한다. 

협력을 설계한다는 것은, 협력에 참여하는 객체들이 주고받을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력에 필요한 책임을 결정하고, 객체에 책임을 할당하는 과정을 얼마나 합리적이고 적절히 수행했는지가 설계의 품질을 결정한다.

 

책임 주도 설계

협력관계를 고안하고 이에 필요한 역할과 책임을 식별한 후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객체를 식별해나가는 과정.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은 올바른 책임을 올바른 객체에 할당하는 것이다.